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비용

by 모를물건 2024. 9. 20.
반응형

보건증은 식품위생업소나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서류입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비용, 그리고 검사항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증이란?

보건증은 현재 '건강진단결과서'로 불리며,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건강진단서입니다. 이는 전염성 질환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급됩니다.

 

보건증 검사항목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1. 피부질환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결핵 검사: 흉부 엑스레이를 통해 폐결핵 여부를 검사합니다.
  3. 장티푸스 검사: 장티푸스 보균 여부를 확인합니다.

유흥업소 종사자의 경우, 추가적으로 성병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발급비용

보건증 발급비용은 보건소에서 약 3,000원 정도이며, 일반 병원에서는 1만원에서 3만원 정도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결제는 카드와 현금 모두 가능합니다.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e-health.go.kr)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1. 공공보건포털 접속: 검색포털에서 '공공보건포털 제증명발급'을 검색하여 접속합니다.
  2. 개인정보 입력: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나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핸드폰 인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인인증을 완료합니다.
  3. 증명서 선택: 발급 가능한 증명서 중 '건강진단결과서 (구 보건증)'을 선택합니다.
  4. 신청 및 출력: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증명서를 출력합니다. 이때, 통수와 주민번호 뒷자리 표시 여부, 용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를 마친 후 약 4~5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유흥업소 종사자의 경우 약 7일 정도가 소요됩니다. 발급된 보건증은 유효기간이 1년이므로, 매년 갱신해야 합니다.

반응형